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7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아파트에서 주택으로 이사하다. - 마당, 바베큐, 텃밭, 다락방, 색소폰, 반려견

 저는 양평에 세컨하우스를 지었다가, 지금은 제가 상주하고 있습니다. 와이프와 아이들은 아직 도시에 있구요. 블로그 스팟으로 블로그를 새로 옮기면서 여기서는 세컨하우스와 전원생활에 대한 내용으로 차근차근 풀어나가 보려 합니다.  주로 이런 내용이 될 것 같습니다.  - 아파트 살다가 왜 주택으로 옮겨갔나? - 어쩌다가 세컨하우스를 짓게 되었나? - (전원)주택의 좋은 점은 무엇일까? - (전원)주택의 안 좋은 점은 무엇일까? - 세컨하우스란 무엇인가? - 세컨하우스를 지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시골(전원) 생활은 어떠한가? 첫번째로, 인생의 대부분을 살았던 아파트에서 왜 주택이라는 곳으로 옮겨가게 되었는지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마당 있는 집의 로망 아주 어렸을 적 시골에 살았을 때와, 도시로 전학온 후 몇 년간을 제외하면 우리 가족은 계속 아파트에 살았습니다. 제가 2002년 결혼 한 이후 2015년까지 13여년간도 아파트에 살았습니다. 뭐 특별한 이유가 있었다기보다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 것 같네요. 그런데, 와이프는 결혼 전에 쭈욱 단독주택에 살았어서 저와는 조금 달랐던가 봅니다. 어느날 갑자기 '마당 있는 집'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마당이라면 단독주택으로 가야 하는데, 제 기억 속에 단독주택은 아주 어린 시절 '양옥'이라고 불리는 것이고, 동네 목수들이 대충 지어서 단열도 안좋고 겨울에는 춥던, 할머니가 사시던 그런 집이었네요.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도시는 땅값이 비싸기 때문에 같은 지역, 같은 면적이라면 단독주택이 훨씬 비싸겠지요. 마침 저도 아파트의 지긋지긋한 층간 소음 문제에 질리기도 했고, 거대한 상자처럼 생긴 아파트가 비인간적이라는 느낌이 드는 시기였습니다.  타운하우스? 엄마의 정보력 이라 했던가... 와이프는 어디서 그렇게 정보를 듣고 오는지, 주말마다 저를 끌고 여기저기 타운하우스 분양 현장에 데리고 다녔습니다. 요새는 단독주택이라 하지 않고, 업자들이 큰 땅을 사서 여러 채를 똑같은 모양으로 지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