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의 타운하우스에서 분당으로 이주를 하려고 보니 분당의 어지간한 아파트들은 전세만 해도 7억 정도이고, 매매가는 12억을 상회하네요. 별 수 없이 변두리의 작은 빌라를 구하고 차후에 세컨하우스를 지어 주말생활을 할 땅을 알아보게 됩니다. 땅의 위치 선택 : 여주? 이천? 양평? 완전히 은퇴해서 '나는 자연인이다!'를 찍을 것이 아니라면, 도시에서 왕복하는데 너무 먼거리는 힘들 것입니다. 처음에는 장인어른이 계셨던 횡성과 홍천 쪽 땅이 저렴하여 이쪽을 알아보았으나 와이프가 왕복하기에 너무 멀다하고, 저도 회사를 퇴직하고 작은 캠핑장을 운영해볼까 하는 생각이 있어서 수도권에 좀 더 가까운 여주, 이천, 양평쪽으로 눈을 돌리게 됩니다. 횡성, 홍천의 미개발 임야 : 평당 1~2만원 이천은 좀 돌아다녀 보니 생각보다 공장들이 많아서 뷰가 마음에 들지 않는 곳이 많아서 패스했습니다. 주로 여주의 남한강변 쪽을 돌아다니다가 양평쪽으로 알아보았는데 강이 보이면서 교통 등 여건이 좋은 곳은 평당 270만원까지 하는 곳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곳은 최저 70만원에서 100만원 정도였네요. 여주의 한 강뷰 전원주택 단지 : 평당 90~170만원(강뷰가 좋을 수록 비쌈) 땅값에 포함된 것 : 토목공사, 상수도, 하수도, 전기 지중화 집지을 땅을 보러 다니다 보면 보강토나 석축을 쌓아올리고 평탄작업을 해 놓은 소위 '주택단지' 형태로 조성해 놓은 곳을 보게 됩니다. 이런 곳의 땅은 미개발 형태, 즉 자연 그대로의 땅보다 상당히 비싼 가격인데 잘 모르는 입장에서는 이게 어떻게 형성된 가격인지 알기 어려운데요. 그냥 자연그대로의 임야를 깎고 옹벽을 쌓아서 계단식 부지를 형성하고, 상수도를 끌어오거나 지하수 대공을 파고, 건축허가를 위한 도로부지를 분할하고 하수도관을 묻고, 전기 인입을 위해 전기/통신 선을 지중화하고 하는 비용들이 오롯히 땅값에 포함되는 것이지요. 개인이 임야 한필지를 구매해서 이런 작업들을 하는 것보다, 개발업자가 큰 땅을 ...